![]() |
특구육성성과 인포그래픽 (사진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더스타트 = 박기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강병삼)은 연구개발특구가 지역균형뉴딜 혁신거점으로 도약했다고 지난 28일 밝혔다.
2005년에 대덕 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가 최초 지정된 후, 16년 만에 연구개발특구 입주기업 수 9.8배, 코스닥 상장기업 수 9배, 매출액은 21배 증가하는 등 혁신성장을 거듭했다.
2019년 기준, 연구개발특구는 출연연(52개), 연구기관(44개), 교육기관(34개), 기타공공기관(74개), 비영리기관(49개) 등이 입주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의 혁신 주체들이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 혁신거점이다.
대덕특구가 최초 지정된 후 연구개발특구의 변화를 살펴보면, 2019년 기준으로 기업 수는 9.8배, 코스닥 상장기업 수는 9배, 매출액은 21배로 증가했다.
또한, 연구개발특구 사업체(6,782개)는 전국 사업체(4,176,549개)의 0.1%를 점유했지만, 매출액은 8배, 종사자 수는 10배 높은 비중을 차지해, 일반 제조기업이나 전국 중소기업보다 우수한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개발특구 제조업의 평균 고용인원은 51.7명으로 전국 39명 대비 1.3배 높아, 일반 제조기업보다 기업당 12.6명을 더 많이 고용했다.
특히, 연구개발특구 내 중소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전국 중소기업의 1.5배, 평균 종사자 수는 1.7배, 평균 연구개발비는 1.2배로 높아, 연구개발특구가 중소기업과 함께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연구개발특구에는 전국 박사급 연구원 105,672명의 46.8%에 해당하는 52,390명의 박사급 연구원이 존재하며, 전국 연구개발비의 12.5%가 투자되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거점으로, 풍부한 연구인력과 우수한 연구성과를 보여준다.
한편, 공공기술이전 건수 및 공공기술이전료는 전국 대비 약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공공기술을 활용한 사업화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개발특구 내 연구소기업 설립 및 성장 지원, 첨단 기술기업의 지정, 엑설러레이팅 등을 통해 기업의 창업과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2019년 기준 특구 코스닥 상장기업 99개 중 29개 기업이 연구소기업 혹은 첨단기술기업 제도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2006년에서 2018년까지 매출액이 10배 이상 성장한 대덕특구의 고성장기업을 분석해 보면, 28개 기업 중 15개 기업이 특구육성사업화지원(R&BD)이나 첨단기술기업의 지정 등 연구개발특구육성 사업 및 제도를 통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개발특구에 있는 기업 중 신성장 분야 비중이 약 20~37%까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판뉴딜 거전으로서의 성장 가능성도 충분함을 확인했다.
연구개발특구 출범 초기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연구소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나, 최근에는 지역 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연계가 확대되는 등 비즈니스 기반 혁신클러스터 생태계가 활성화되고 있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연구개발특구는 한국판뉴딜과 지역균형뉴딜의 성공을 위한 필수적인 지역혁신공간”이라며, “2008년부터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해외 70여 개 국가에 ‘한국형 과학기술기반 혁신클러스터’로 전파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적인 우수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적극적인 연구개발특구 육성으로 국가 혁신과 지역발전에 앞장설 것”이라 덧붙였다.
[저작권자ⓒ 더 스타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