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방문은 이 위원장이 지난 3일 서울시 관계자로부터 강북구 우리동네키움센터 현황보고를 받은 후, 후속조치로 이뤄졌으며, 서울시와 강북구 담당자가 참석해 후보지 물색을 도왔다.
우리동네키움센터는 만 6~12세의 돌봄이 필요한 모든 아이들이 이용할 수 있는 쉼·여가·놀이공간을 마련·제공, 방과 후 초등학생들의 돌봄 공백 해소 사업으로, 서울시는 시설의 규모와 기능에 따라 일반형·융합형·거점형으로 나눠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일반형은 집·학교에서 걸어서 10분 거리, 80㎡ 이상 210㎡ 미만 소규모 건축물에 설치하여 틈새돌봄에 대한 수요와 접근성에 초점을 맞추고, 보건복지부의 다함께돌봄 사업과 연계하여 구립형태로 운영 중이다.
강북구의 우리동네키움센터 현황은 8월 현재 기준 4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내년 1월까지 3개소를 추가 설치하여 총 7개소가 운영될 예정이다.
강북구 7개소는 서울시가 연내 목표로 잡은 282개소 설치를 기준으로 25개 자치구 평균 11.3개소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이며, 이는 근접한 노원구 27개소 대비 25.9%에 불과한 수준이다.
서울시교육청이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1년 하반기 강북구 내 14개의 초등학교 학생 수는 9,309명으로, 이용 정원을 20명 내외로 하고 있는 일반형·융합형 센터를 기준으로 할 경우 7개소의 총 정원은 140명에 불과하여(관내 초등학생의 1.5%)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지역아동센터로도 운영됐던 노유자시설의 관계자는 “우리동네키움센터를 새롭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자치구의 공간 발굴이 필수이다”라며, “우리 시설은 노유자시설 용도로 지정되어 유사 사업을 잘 수행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공실로 남아있는 상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인근의 많은 부모님들이 왜 우리 시설에 키움센터를 설치하지 않는지 묻는 문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면서 하루 빨리 수요에 대응해 줄 것을 당국에 호소했다.
[저작권자ⓒ 더 스타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