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타트 = 정아라 기자] 정도영 경기도 경제기획관은 의정부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지난 29일, 온라인 기자회견을 통해 코로나-19 확산으로 디지털 시대의 도래, 혁신 기술기업의 대두 등 변화하는 환경과 부합하는 ‘스타트업’의 창업과 인수·합병(M&A)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경기도형 K-스타트업 지원전략」 을 밝혔다.
지원전략을 살펴보면 ▲창업단계별 균형성장, ▲민간주도 혁신성장, ▲창업 정보·자원의 융합 등 3대 전략과 6가지 핵심사업을 포함하고 있으며, 창업단계별 균형성장 전략에서는 '경기 스타트업 공정 M&A 지원'과 '기술이전 창업 지원 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또한, 공정한 M&A를 위해 내년부터 전문 중개·자문기관과 함께 스타트업 50개 사를 대상으로 ▲교육·네트워킹 및 컨설팅, ▲기업실사 대응, ▲기술탈취 예방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 |
▲ 3대 전략과 6대 핵심사업의 내용으로, 경기도형 혁신창업 생태계 실현의 구조이다. (사진출처=경기도) |
스타트업의 성공과 생존이 혁신기술의 보유와 활용에 있는 만큼, 대학·연구소·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우수 기술을 스타트업에 이전해 사업화를 도모할 방침이며, 민간주도 혁신성장을 위해 '크라우드 펀딩 연계 스타트업 지원'과 '민간투자 연계형 기술 창업 지원'을 시행한다.
스타트업이 ‘투자 플랫폼’에 제품을 등록하면, 대중의 선택과 의견 교환으로 시장성을 평가받은 후 투자유치로 자기자본을 확충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구체적으로 스타트업 50개 사를 선발해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등록’을 위한 교육 및 비용을 지원하고, 투자에 성공하면 최대 5천만 원 이내에서 사업화 자금을 지원해 지속적인 경영안정을 도울 계획이다.
창업 정보·자원의 융합을 위해서, 작년부터 출범한 온라인 창업플랫폼 「경기 스타트업 플랫폼」 을 온라인 창업허브로 자리 잡도록 기능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창업 정보와 자원 그리고 전문가 컨설팅 등을 「스타트업 플랫폼」 을 통해 통합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제조기업과 스타트업의 협업을 지원하는 서비스인 '제조 공유 플랫폼'을 추가해 운영한다.
스타트업이 성장하기 위해 상호 교류가 중요한 만큼, 판교 '경기 스타트업 캠퍼스'를 중심으로 그간 개별적으로 운영된 21개 오프라인 창업 지원시설을 권역화하고 연계·협력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 예정이다.
[저작권자ⓒ 더 스타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